본문 바로가기

집밥연구실

[집밥레시피] 집에서 막걸리 만들기!! 술거르기~!!(2회)

반응형
 
 

 

안녕하세요:)

6일전 집에서 막걸리 만들기 포스팅을 했었는데요ㅎ

* 막걸리 만드는 포스팅은 본문 맨 아래에 >_<

 

드디어 실온 숙성이 마무리 되고

막걸리를 거르는 날이 왔습니당~~~ㅎㅎ

6일동안 매일 매일 정성스럽게

저어주고 상태 체크해준 우리집 막걸리!!

이제 같이 술을 걸러볼까요??!

 

 

우선 거르는 작업에 대해 간단히 설명 드리자면

6일간 함께 섞어 숙성한 쌀과 효모, 누룩, 물

면보에 넣어 짜주는 작업으로

숙성된 액체를 술지게미 건더기와 분리를 하여

부드럽고 고소한 막걸리로 만들어 주는 작업이에요!!

 

 

[먼저 필요한 도구]

 

대형 면보주머니, 채반, 국자, 채반을 받칠 그릇,양푼이 또는 보울, 병, 깔대

 

면보주머니 = 숙성된 막걸리를 넣어 건더기를 걸러 짜주기 위한 용도

채반 = 거르는 과정에 들어간 건더기를 한번더 걸러주는 작업

채반 받칠 그릇 = 채반을 통과힌 막걸리 액이 면보에 젖어 짜는데 불편함을 줄여줄 도구

양푼이 또는 보울 = 최종적으로 우리가 마실 막걸리 액이 받아질 그릇.

국자 = 걸러지지 않은 술지게미 막걸리를 면보에 넣을 때 쓸 용도

병 = 막걸리를 보관할 병

 

 

자~~ 이제 마지막 단계 시작해 볼까요??

step1. 양푼이, 그릇, 채반, 면보를 위에 그림과 같은 구조로 만들어주세요. 

 

step2. 준비된 (step1)의 면보주머니 안에 숙성된 막걸리를 국자로 넣어줄거에요.

넣어주니 면보 밖으로 걸러진 액체가 나오는게 마시게 될 막걸리에요.

많지 않은 양을 넣어 짜주는 작업을 여러번 해주셔야 해요~

너무 많이 나오면 짜기도 힘들고 넘쳐 나올 수 있어요ㅎ

*저는 하는 도중 숙성병에서 국자로 뜨기가 어려워서

양푼이에 모두 옮겨준 뒤 했어요.

 

 

step3. 면보에 넣어 준 술지게미를 최대한 꾹꾹 천천히 부드럽게 짜주시는 것을 반복해주시면 돼요.

*한번 짜고난 술지게미는 다른 양푼이에 모아 버리시거나 활용하시면 됩니당ㅎㅎ

step4. 반복 작업으로 짜준 막걸리를 한번 더 체에 걸러 과정 중 들어갔을 건더기를 말끔히 제거해줍니다ㅎ

 

 

흑미의 보라빛이 돌아서 색이 부드럽고 곱게 나왔어요ㅎ

너무 예쁘죠??

 

 

 

 

검정고무신에서만 보던 술지게미를

제가 직접 만들다닠ㅋㅋㅋㅋㅋ

술지게미를 미용팩으로 쓰기도 하고

먹기도 한다는데 신기하네요ㅎ

 

step 5. 자! 이제 마지막 깔대기를 준비하신 병에 꽂은 후 막걸리를 저어가며 넣어주면 끄읏~!!

 

 

집에서 정성스레 만들어진 막걸리

직접 만들어보니 어떠세요??ㅎㅎ

이제 술도 집에서 만들어 마실 수 있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당신은 탑티어...

앞으로 냉장 숙성 3일 후

진짜 막걸리 맛을 볼 수 있어요~~

저는 3주 정도는 숙성해야 더 맛있고 탄산 깊이도 느낄 수 있더라구요ㅎ

막걸리와 같이 곁들여 먹을 레시피도 조만간 포스팅 할게요!

 

여러분도 사랑하는 사람과 구수하고 편안한 시간 보내세요ㅎ

 

막걸리 만들기 포스팅 보러가기 GOGO

https://real-rad.tistory.com/entry/%EC%A7%91%EB%B0%A5%EB%A0%88%EC%8B%9C%ED%94%BC-%EC%A7%91%EC%97%90%EC%84%9C-%EC%88%98%EC%A0%9C-%EB%A7%89%EA%B1%B8%EB%A6%AC-%EB%A7%8C%EB%93%A4%EA%B8%B0-%EB%A0%88%EC%8B%9C%ED%94%BC

 

[집밥레시피] 집에서 수제 막걸리 만들기 레시피

​ 안녕하세요~~ 미각연구소의 연구원입니다!! ​ 집에 가을 햅쌀을 선물받아서 집밥연구소 편으로 대한민국 전통주인 막걸리를 만들어 봤는데요!! ​ 제가 술을 잘 못하는데 그 중 막걸리가 숙

anything1.crisiseo.com

포스팅이 맘에 드셨다면  구독➕ 공감 부탁드립니다.

 


 

반응형